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처음 접한 제발트, 이민자들.

요란하고 떠들썩한 환호를 받는 작가에게는 성큼 다가서기가 쉽지 않다. 이제서야 제발트를 읽게 된 이유다.

 네 편의 이야기로 구성된 이 작품은 제목 그대로 이민자들을 다루고 있다. 전쟁에 의해, 즉 나치즘에 의해 비자발적 이민자가 되어야 했던 유태인들, 그들을 독일인인 제발트가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제발트는 그들의 행적을 좇으며 그들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다시 재구성한다. 괴롭고 힘든 작업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외면하거나 타협하지 않았다. 삽입된 사진을 통해 실화임을 알 수 있지만 제발트의 문장으로 다시 태어난 작품 속 인물들의 이야기가 온전히 사실만 담아낸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그 고통만큼은 실재하는 것 이상으로 생생하게 다가왔다.

 네 편의 인물과 이야기가 다르지만 굳이 분리할 필요성을 나는 느끼지 못한다. 오래 전부터 이민자로 살아왔던 유태인들은 자신이 속한 국가과 지역을 중요한 정체성으로 삼고 살아갔을 것이고 그것이 완전히 부서저버린 어느 날부터 유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더 크게 깨달아야 했을 것이다. 그것이 자부심이 아닌 고통으로 다가와야 하는 불합리한 이유에 대해 조금도 납득하지 못한 채. 인물 중에는 일부만 유태인인 사람도 나온다. 유태인이라면 가장 끔찍한 낙인을 피해갈 수 없었던 시절, 그 자신의 혼란은 자살로 생을 마칠 때까지 조금도 줄어들지 않는다.

 1. 헨리 쎌윈 박사-기억은 최후의 것마저 파괴하지 않는가

 2. 파울 베라이터-어떤 눈으로도 헤칠 수 없는 안개무리가 있다

 3. 암브로스 아델바르트-내 밀밭은 눈물의 수확이었을 뿐

 4. 막스 페르버-날이 어둑해지면 그들이 와서 삶을 찾는다

 소제목만으로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는 작품 속 인물의 구체적 고통을 다시 언급하는 건 큰 의미가 없을 듯하다. 다만 우리가 타인의 고통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그것을 들여다 볼 용기가 있는지, 다시 한 번 물을 수밖에 없다. 부당해고로 직장과 가족을 잃고 높은 곳에서 농성을 잇고 있는 이들 역시 또 하나의 이민자들이 아닐까 싶다.

 아쉬운 점을 꼽자면 딱히 재미 있는 소설은 아니었고 나쁘지 않았으나 드물게 매끄럽지 못한 번역이 거슬렸다.

 해설 중 나온 문장으로 이 작품평을 끝내고자 한다.

 "추구를 위해 고향을 떠난 사람ㅇ게 고향은 긍정적인 것으로 남기 쉽고, 회피를 위해 고향을 떠난 사람에게 고향은 부정적인 것으로 남기 쉽다."

 

:
Posted by 박모모